클래스(Class)

 - 파이썬의 클래스는 새로운 이름 공간을 지원하는 단위이다.

 - 이 공간에는 함수와 변수가 포함될수 있다.

 - 모듈과의 차이는 모듈은 파일 단위로 이름공간을 구성하는 반면, 클래스는 영역과 인스턴스 영역 내에 이름 공간을 구성한다.

 - 상위, 하위 클래스 간의 상속 또한 클래스의 특징이다.

 

* 클래스의 이름공간

- 클래스는 하나의 이름 공간이다.

 

 

*클래스 인스턴스

 - 클래스는 하나이상의 인스턴스 객체를 생성하는 틀과 같다.

 

 

* 상속(Inheritance)

 -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할수 있으므로, 개별적인 특징 만을 새로 정의하는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수 있다.

즉, 재사용성 있다.

 

* 클래스 멤버와 인스턴스 멤버

 - 클래스 멤버는 클래스 이름공간에 생성된다. 모든 인스턴스는 객채들에 의해서 공유 될수 있다.

 - 인스턴스 멤버는 인스턴스 객체 이름 공간에 생성된다. 각각의 인스턴스 객체 내에서만 참조된다.

 

 

 

 

Class(클래스) vs Object(객체)

클래스는 변수의 정의 형태를 정의한다.(Blue print)
Object(객체)는 변수다.
하나의 변수가 값과 기능들을 모두 가진다.

 

MVC(Model - View - Controll) - 웹에서 많이 사용


ex) 은행계좌 : bankAccount
1. 속성(Attributes)
 - 변수, 멤버변수
 - 잔액, 계좌이름

2. 행위(behavior)
 - 기능, 동작
 - 메서드(함수, 프로시져)
 
 - 입금(예금)
 - 출금

3. 생성자(생성 메서드)
 - 객체가 만들어질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메서드


클래스 변수(static 변수) vs 객체 변수
1. 객체 변수
 - 객체내의 멤버
 - 독립적인 변수

 - 객체를 생성한 이후에 접근이 가능

 

2. 클래스 변수(static / 정적 변수)
 - 객체에 속하지 않은 변수
 - 클래스에 속한 변수


 - 객체 생성과는 무관하게 클래스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


staticmethod
 - 클래스 매서드(?)

 

 


class BankAccount(object):
     #pass 비어있는 클래스를 만들때 사용
        __count = 0 # 클래스 변수

        @staticmethod
        def getCount():
                return BankAccount.__count
              
        def __init__(self,balance,accountName):#메서드를 지정할때 self를 무조건 가져야함.
                self.__balance = balance 
                self.__accountName = accountName
                BankAccount.__count += 1
                   
        def deposit(self,incomming):
                self.__balance += incomming
                print("현재 잔액은" +str(self.__balance)+ "원 입니다." )

        def withdraw(self,outcomming):
                if outcomming > self.__balance:
                        print("잔액이 부족합니다.")
                else :
                       self.__balance -= outcomming
       

        @property
        def checkBalance(self):
                return self.__balance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6 - 기초 알고리즘  (0) 2016.12.17
파이썬5  (0) 2016.12.10
파이썬4  (0) 2016.12.04
파이썬 3  (0) 2016.12.03
구구단 출력  (0) 2016.11.28

 기초알고리즘
 - 문제풀이법
 - 정렬에 대한 문제들

 - 리스트에 대한 이해

선택정렬
삽입정렬
합병정렬
버블정렬
...


#선택정렬

#num = [8, 3, 7, 5, 1]
'''
def selection(slist):

    if slist != []:
        min_num = min(slist)
        slist.remove(min_num)
        return [min_num] + selection(slist)
    else:
        return []

def selection_tail(uslist):
    def recursion(ulist,slist):
        if ulist != []:
            min_num = min(ulist)
            ulist.remove(min_num)
            slist.append(min_num)
            return recursion(ulist,slist)
        else :
            return slist
    return recursion(ulist,[])
print(selection_tail(num))

'''
'''
def select_loop(ulist):
    slist = []
    while ulist != []:
        min_num = min(ulist)
        ulist.remove(min_num)
        slist.append(min_num)
    return slist
print(select_loop(num))
'''
'''
ex_list = [1,2,4,5]
#ex_list.append(3)
#ex_list.insert(2,3)  2,3 일 경우 2번째 원소뒤에 3을 넣어라.
def self_insert(x,slist):

    if slist != []:
        if x < slist[0]:
            slist = [x] + slist
            return slist
        else :
            return [slist[0]] + self_insert(x, slist[1:])

    else:
        return[x]  
print(self_insert(0,ex_list))

# 3가지 경우 조심 숫자가 작은경우 큰경우 같을경우 조심

'''
'''
#삽입정렬
import random
sample = [x for x in range(1,6)]
random.shuffle(sample)
print(sample)

size = len(sample)
for i in range(1,size):
    x= sample[i]
    print(x)
    for j in range(0,i):
        print(sample)
        if sample[j] > x:
            sample.remove(x)
            sample.insert(j,x)
            break
 

print(sample)
'''
'''
# 분할기법
#import random    
from random import *
sample = [ x for x in range(1,6)]
shuffle(sample)
def merge(left,right):
    temp = 0
    while left != [] and right != []:
        if left[0] < right[0]:
            temp.append(left[0])
            left = left[1:]
        else:
            temp.append(right[0])
            right = right[1:]

    if left !=[]:
        return temp + left
    else :
        return temp + right
def merge_sort(slist):
        mid = len(slist) // 2
        if mid >0:
            return merge( merge_sort(merge(slist[:mid]),merge_sort(slist[mid:]))
        else :
            return slist

print(merge_sort(sample))        

 

랜덤함수 부르는법
import random           -> 랜덤 함수 앞에 랜덤을 붙여줘야한다.
from random import * -> 랜덤함수앞에 붙이지 않아도 된다.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7 - 클래스  (0) 2016.12.17
파이썬5  (0) 2016.12.10
파이썬4  (0) 2016.12.04
파이썬 3  (0) 2016.12.03
구구단 출력  (0) 2016.11.28


파이썬에서 사용가능한 자료형
 - list, tuple, dictionary, set

list
 - 배열과 같은 타입
 - 원소들의 집합
 - 변경 가능한 집합

123 + 1 + 2 +3 = 129
 -> 123 + str[0] + str[1]+str[2]
tuple
 - list와 거의 동일
 - 변경이 불가능한 집합
 - 문자열도 튜플의 한 종류이다.

dictionary
 - 사전형
 - 맵, 해시와 동일한 자료형
 - 키를 사용함.

set
 - 수학에서의 집합과 비슷
 - 중복자료를 허용하지 않음.

 * 피보나치 수열
 - 현재 피보나치 수의 값
 * fn-1 + fn -2

 n = 0
 - fn = 0
n = 1
 - fn1
n=2
 - fn = f0(0)+f1(1) =1
n=3
 - fn = f1(1) + f2 = 2
n=4
 - fn = f2(1)+f3(2)= 3
n=5
 - fn = f3(2) + f3(3) = 5

# 하향식 설계를 통한 n번째 피보나치 수 구하기
def fib(n):

    if n<2:
        return n
    else :
        return fib(n-1) + fib(n-2)

print(fib(40))

큰수가 들어오면 시간이 오래걸린다.
 - 중복되서 나오는경우가 너무 많이 한다.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7 - 클래스  (0) 2016.12.17
파이썬 6 - 기초 알고리즘  (0) 2016.12.17
파이썬4  (0) 2016.12.04
파이썬 3  (0) 2016.12.03
구구단 출력  (0) 2016.11.28

 함수
 - 상향적 접근법 : loop, tail recursion(꼬리재귀) ----------> 앞에서부터 접근
 - 하향적 접근법 : 재귀/ recursion ---------------> 뒤에서 부터 접근(피보나치 수열...)

* 재귀( recursion)

 - GNU( (GNU( GNU Not Unix) Not Unix)

ex).  def GNU():

             GNU()

       GNU()

(예제1).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
  -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변수의 변화하는 흐름을 잘 살펴보아야한다.
def sum(n):

    if n < 1:
        return 0

    else:
        return n + sum(n-1)


print(sum(10))


'''
n = 10
if 10<1: return 10 + sum(10-1)
if 9<1 : return 9 + sum(9-1)
if 8<1 : return 8 + sum(8-1)
if 7<1 : return 7 + sum(7-1)
if 6<1 : return 6 + sum(6-1)
if 5<1 : return 5 + sum(5-1)
if 4<1 : return 4 + sum(4-1)
if 3<1 : return 3 + sum(3-1)
if 2<1 : return 2 + sum(2-1)
if 1<1 : return 1 + sum(1-1)
if 0<1 :

ruturn 10 + (return 9 + (return 8 + (return 7 + (return 6 +(return 5 + (return 4 + (return 3 + (return 2 + (return 1 + (return 0)

'''
1000번까지 재한됨.


*문제풀이
   알고리즘  -> 문제 풀이하는 방법(과정)
   * 시간 효율성 - 반복하는 횟수
  -->0(n) 여기서 n은 횟수
  --> 0(logn)
  -->0(n^2)

   * 공간 효율성
#tail recursion
def sum(n):
    def loop(n,save):
        if n>0:
            save += n
            return loop(n-1,save)

        else:
            return save

 

    return loop(n,0)

print(sum(10))

'''
n=10
if 10>0 : return loop(9,10)
if 9>0 : return loop(8,19)
if 8>0 : return loop(7,27)
if 7>0 : return loop(6,34)
if 6>0 : return loop(5,40)
if 5>0 : return loop(4,45)
if 4>0 : return loop(3,49)
if 3>0 : return loop(2,52)
if 2>0 : return loop(1,54)
if 1>0 : return loop(0,55)
if 0>0 : return 55
'''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6 - 기초 알고리즘  (0) 2016.12.17
파이썬5  (0) 2016.12.10
파이썬 3  (0) 2016.12.03
구구단 출력  (0) 2016.11.28
파이썬 2 - 자료형  (0) 2016.11.27

built - in  function
 - 붙박이 함수
 - 내장함수

* 기능설계
 - 절차적 프로그램 : C,pascal,potran, ...
 - 기능 위주의 프로그램 : 동사위주
    ex). 놀이기구
 - 탄다, 운행, 안전, 종료, 인원수, 시간...
 - 직성운동, 곡선운동...


* 객체지향 설계
 - OOP : C++,Java, python,perl, php, go, ...
 - 객체자체에 관심이 더많음 : 명사 위주
 ex) 놀이기구
 - 롤러코스터
   -> 직선운동, 곡선운동,...
  -> 좌석수, 좌석의 길이, 운행시간, 모양
 - 바이킹
 - 회전목마


함수(function)
 - 함수
 - 프로시져(procedure)
 - 수학적 개념의 함수와 의미가 동일

함수의 정의(define)

def <함수 이름>(변수1,변수2,...):
 expression1
 expression2
 expression3
 ...
함수의 사용
 <함수의 이름>(expr1,expr2....)

ex) for x in range(1,N+1):

(n,_,n) ---> 이런경우는 두번쨰에 처리를 하지않음.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5  (0) 2016.12.10
파이썬4  (0) 2016.12.04
구구단 출력  (0) 2016.11.28
파이썬 2 - 자료형  (0) 2016.11.27
파이썬 1  (0) 2016.11.26

오늘은 갑자기 번쩍 드는생각으로 파이썬으로도 구구단을 짤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한번 해보았다.

 

코드는 이렇게 되며

 

설명은

C언어에서 구구단을 짠다고 하면 이중for문을 사용할떄  

for(a=2;a<10;a++)

for(b=1;b<10;b++)

이렇게 사용할것이다.

근대 파이썬에서는 range함수를 사용하면 같은 효과를 볼수 있다.

첫번 째 for문은  a라는 변수를 2부터 9까지 증가를 뜻하며, 마찬가지로 두번 째 for문은 b라는 변수를 1부터 10까지 증가를 뜻한다. 

 

 

결과값은   이렇게 되는대 오늘 구구단을 짜면서 파이썬에서 쓰는 표준 출력 함수 print()에 대해서 다시 알게 되었다.

C언어에서는 printf()을 사용하는대  구구단에서 출력함수를 사용한다면

printf(" %d X %d = %d", a,b,a*b ) 이렇게 표현되는대,

파이썬에서는 마찬가지로 print("%d X %d = %d" %(a,b,a*b))

표준 입출력 함수 형태만 다르지 표현하는 방법은 똑같은것 같다.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5  (0) 2016.12.10
파이썬4  (0) 2016.12.04
파이썬 3  (0) 2016.12.03
파이썬 2 - 자료형  (0) 2016.11.27
파이썬 1  (0) 2016.11.26

자료구조, 자료형, Data Type


리스트(list) 변경O

 - 배열(array)
 - 순서열(sequance)

 
튜플(tuple) ----> 튜플은 리스트와 다르게 변경이 불가.

 - 문자열
ex).
 "Hello, World!"

 

*차이점

 -순서열내의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가
  없는가.

 list1 = [1, 2, 3, 4, 5] 리스트

 tuple1 = (1, 2, 3, 4, 5) 튜플

 순서는 C와같이 0번부터 매겨짐 (튜플 리스트 둘다)

 첫번째 저장값을 나타낼때
  list1[0]
  tuple1[0] - 이땐 대괄호

 list1[2] = 10  O
 tuple1[2] = 19  X

리스트는 문자를 변경이 가능하나, 튜플형 자료형은 바뀌지가 않는다.

 

 

string = "Hello, Korea" - 문자형
string = list( str ) - 형변환 문자형 -> 리스트
print( string )

string[0] = 'H'

 print( string )

 string = str( string )

 print( string )

 

num_list = [ 1, 2, 3, 4, 5] 

num_tuple = ( 1, 2, 3, 4, 5)
string = "Hello, korea"

 

 # slice //사용시 마지막 수는 항상 제외됨 주의
 num_list [1:4] 

: = to (여기서 여기까지)
 print( num_list )

 num_tuple = num_tuple[1:4] 새로만들어진다는 개념 따라서 기존메모리는
     낭비되는상태로 계속 존재
 print( num_tuple )

 string = string[0:5]
 print( string )

 

#slice

 num_list2 = num_list
 num_list2[2] = 10
 print( num_list2 )
 print( num_list )

 리스트(다른변수가아닌 리스트만) 일경우 같은자료형을 참조하는 여러개의
 리스트가 존재 가능(한곳에서 변화를주면 2개다 적용↖)


 num_list2 = num_list[:]
 num_list2[2] = 15
 print( num_list )
 print( num_list2 )

 이런경우 slice를이용하였기때문에 새로 생성되어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num_list = input()

 print( type( num_list ) )
 print( num_list )

 int( num_list[0] ) 이렇게 해주지 않고 그냥 밑부분처럼 더할시 1+2 가 3
 int( num_list[2] ) 이 아닌 1+2 가 12가 된다.

 print( num_list ) // 위에 말대로 int형으로 바꾸지 않을시 아래에 식은 12가 나온다.
 print( num_list[0] + num_list[2] )   // num_list = list( num_list ) 이부분에서 리스트로 교체
 a = int( num_list[0] )
 b = int( num_list[2] )

 c = a+b

print(c)

 

 

 


사전(dictionary)

집합(set)

 

converter
 
 - 화씨 => 섭씨
  ( 5 * 화씨 - 160 ) / 9.0
 - 섭씨 => 화씨
  9.0 / 5.0 * 섭씨 + 32

실행화면

 변경할 타입을 입력해주세요: F/C
 *C를 입력했다면
  -변환할 섭씨 온도를 입력해주세요: 0

  -입력한 섭씨 0도는 화씨로 32도 입니다.

 *F를 입력했다면
  -변환할 화씨 온도를 입력해주세요: 32
  -입력한 화씨 32도는 섭씨로 0도 입니다.

 


조건문(분기문/branch)

 if expression;(만약 이 표현식이 참이면)
  //then block (블록을 실행한다.)


파이썬의 블록은 들여쓰기로 구분 (매우중요)

ex).


  if 1 == 1: // C랑은다르게 콜론을 붙임
   print("True")
   print("here is then block")
  print("here is not if block")

 애매한 띄어쓰기 안됨 무조건 맞춰줄것

  ㅁㄴㅇㄹ
   ㅁㄴㅇㄹ  X

  ㅁㄴㅇㄹ
  ㅁㄴㅇㄹ O


  다른 조건에서 실행시킬때는 C랑 똑같게 else사용

  if 1 == 1: // C랑은다르게 콜론을 붙임
   print("True")
   print("here is then block")
  else:
  print("here is not if block")

만약 분기점을 하나더 늘리고 싶다면else를 하나더 쓰느것이아닌 
elif를 추가한다.(c언어의 else if)
만약 elif의 조건이 첫번째 if와 동일하다면 첫번째로만난 조건이 성립할시 나머지 조건은
실행시키지 않는다.

 

구성 문자열 판별
s.isdigit() -> 숫자여부 파악, 리턴 : True, False
s.isalpha() -> 영문자 여부 파악 ,리턴 : True, False
s.isalnum() -> 숫자 혹은 영문자 여부파악, 리턴 : True, False
s.islower() -> 소문자 여부 파악, 리턴 : True, False
s.isupper() -> 대문자 여부 파악, 리턴 : True, False
s.isspace() -> 공백 문자여부 파악, 리턴 : True, False
s.istitle() -> 제문 문자열 여부 파악, 리턴 : True, False

 

u’string‘ -> 유니코드 표현 문자열

unicode(‘한글’) -> 유니코드 문자열로 변환

포맷 문자열

설명

%s

문자열 혹은 임의의 객체를 문자열로 변환 한다(str()함수를 이용함)

%r

문자열 혹은 임의의 객체를 문자열로 변환한다(repr()함수를 이용함)

%c

길이가 1의 문자 ‘%c’, ‘%A’

%d

10진수 정수

%i

정수(%d와 별 차이가 없다 )

%u

부호 없는 정수 ‘%u’ %-12의 결과는 ‘42949967284’ 양수 그래로 음수는 양수적 해석을 적용한다.

%o

8진수

%x

16진수를 소문자 출력 ex)12의 결과는 ‘c’

%X

16진수를 대문자로 출력 ex) 12의 결과는 ‘C’

%e

부동 소수점(실수)를 지수 형태로 표현, 유효숫자는 7자리로 표현한다.

‘%e’ %123.45678 의 결과는 1.234568e+002

%E

%e와 동일 함. ,지수 표현을 대문자 E로 표현

%f

부동소수점(실수)을 표현. %f ‘%123.45678’ 결과는 123.456780

%g

부동소수점을 편의 따라서 소수점 형식 혹은 지수 형식으로 변환함.

6자리의 유효숫자로 표현한다.

%G

%g와 동일 단, 지수 표현을 대문자 E로 표현

 


반복문(loop) : while, for

 -기본 형태-

while 반복문실행조건 :

반복할 코드

반복문 실행 조건을 제대로 작성하지 않을 경우 반복문이 실행되지 않거나 무한 루프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예시-

 


>>> count = 1

>>> while count <=9 :

  print("Count = ", count)

  count += 1

Count =  1

Count =  2

Count =  3

Count =  4

Count =  5

Count =  6

Count =  7

Count =  8

Count =  9


for문

C의 for문과 큰 차이를 보여줍니다.
파이썬의 for문의 기본 형태는

for 타깃식별자 in 문자열or리스트or튜플 :

반복할 코드

로 나뉘게 됩니다.

'in' 뒤에 있는 항목의 첫번째부터 마지막까지 순서대로 타깃 식별자에 대입됩니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for 타깃식별자 in 문자열

타깃식별자에 문자열의 첫번째 글자부터 마지막 글자까지 순서대로 대입됩니다.

-예시-

>>> for i in "hello" :

  print(i)

h

l

l

o

(2) for 타깃식별자 in 리스트

리스트의 첫번째 항목부터 마지막 항목까지 순서대로 타깃식별자에 대입됩니다.

-예시-
>>> for i in ["aa", 1, "bb", 2, "c", 3] :

  print(i)
aa

1

bb

2

c

3

(3) C와 유사하게 사용하기 - range() 함수 사용

for문을 C와 유사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range()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range의 함수의 원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range(stop)

range(start, stop[, step])

 

인자는 정수를 입력합니다.

정수를 하나만 입력할 경우 (stop)

0 ~ 입력한 정수-1 까지 1씩 증가하며 반복되고,

정수를 두개 입력할 경우 (start, stop)

start ~ stop-1 까지 1씩 증가하며 반복되고,

정수를 세개 입력할 경우 (start, stop, step)

start ~ stop-1 까지 step 씩 증가하며 반복됩니다.

즉, 파이썬의

for i in range(0, 10, 1):
과 같은 for문은, C의
for (i=0; i<10; i++)
와 같은 의미입니다.

-예시-

>>> for i in range (5):

  print(i)

0

1

2

3

4

>>> for i in range (1,5):
   print(i)

1

2

3

4

>>> for i in range (1,5,2):

  print(i)

1

3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5  (0) 2016.12.10
파이썬4  (0) 2016.12.04
파이썬 3  (0) 2016.12.03
구구단 출력  (0) 2016.11.28
파이썬 1  (0) 2016.11.26

 

컴퓨터를 보는 두가지 관점

     1. 언어  : 알고리즘에 대해서 구현방법

 

     2. 알고리즘 :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추상적인)  수학적인 언어

 

□ 프로그램 언어의 세대

 

 - 1세대 언어 : 절차적 언어, 서브루틴, 함수

    대표적 언어 : C언어, 포트란, 파스칼, 어셈블리

 

 - 2세대 언어 : 객체지향 언어

대표적인 언어 : C++,JAVA, Pytion

 

 - 함수형 언어 : 1세대 ,2세대 언어와는 달리 문법체계가 다름

대표적인 언어 : 하스켈, JAVA 8

 

하지만 Phtion은 2세대 언어 와 함수형언어를 둘다 지원함.

 

□ Phtion의 특징

Phtion은 1991년 교육용 목적으로 만들어짐

     - 어플리케이션 등을 만들 수있음

     - 운영체제는 볼가능

 

 - 대화식 프로그래밍

 - 인터프리터(실행기) 형식의 언어

 

* 컴파일 형식 VS 인터프리터 형식 언어의 차이

 -  컴파일(번역기) 형식 : C, C++,JAVA.....

 - 인터프리터 형식 : Phtion, 루비, PHP, 자바스크립트....

 

  - Phtion2에서 만든것은 3에서 지원안함(마찬가지로 Phtion3에서 만든것은 2에서 지원안함) 

 

□ Phtion 데이터(date) 타입

 

 - 숫자 : 정수(음수, 0,양수), 실수 복소수 까지 지원

 

 - 문자 : 문자열로 취급-----------> C언어는 문자를 받기 위해서는 문자형(char)을 선언하여 문자를 받거나,

문자열을 받기 위해서는 문자형 포인터(char *)을 사용하거나 문자형 함수(string)를 인클루드 해야 사용가능

 

-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실수데이터에 대해서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한다.

 

□ 산술연산자

 - +(더하기), -(뺴기), *(곱하기), /(나누기)

 - //(몫), %(나머지)

 - **(지수연산)

 

* 우선순위

1.** 2.//,%  3.*,/ 4. +,-

() : 우선순위를 변경할수 있음.

 

*중위 표기법 : 연산자가 가운데 들어가는 표기법

 

□ 문자열

 - '(작은 따움표), "(큰 따움표) -------> C언어에서는 '(작은 따움표)는 문자형을 사용, "(큰 따움표) 문자열을 받기 위해사용

파이썬에서는 '(작은따움표), "(큰 따움표) 차이가 없음


ex) "Hello", "Korea""(x) ---------->'Hello", "Korea"'(o)
ex) escape sequence
 - 문자열에 표현 할 수 없는 문자표현
 - 엔터, 따움표, 숫자
 - \n,\",\x60

문자열 연산자 : +, *
 - +: 문자열과 문자열을 합칠떄
 - * : 문자열의 반복


□ 문자와 숫자를 더하는법
 'hello' +str(10)

 '10'숫자를 이렇게 선언하면 문자로 인식
 이것을 int('10') 선언하면 숫자로 인식

 

□ 논리연산자
 - and(그리고), or(또는), not(아닌)
 - True(1), False(0)
논리연산자는 not연산자가 높음

 

□ 비교연산자
 - ==(같다),!=(같지않다)
 - >(크다), >=(크거나 같다)
 - <(작다),<=(작거나 같다)


□ 표현식(expression)
 - 연산이 가능한 문장

□ 변수(variable)
 - 가변적인 데이터
<-> 상수 (정수, 실수, 문자열)
 - 값을 저장하고 언제든지 해당 값을 불러와서 사용

□ 할당(asign)
 - 지정
 - 변수에 값을 저장
 - '='
       ex) width =10
 * 중북지정 불가
 * 숫자로 시작할수 없음
 * 변수의 이름 앞에는 영문 대/소 문자만 올수 있다.
 * 특수문자 사용불가(예외 : "_")

□ 파이썬3는 변수이름을 한글로도 가능함.
 - 입력되기전까지는 변수의 내용은 바뀌지 않는다.

 

□ 파일형태
 - 파일이름.py

 

□ 주석 : #

 대화식 프로그램
 - 표준 입력 : 실행 도중에 키보드로부터 값을 읽어들임
 - 파일 입력
 - 네트워크 스크림 입력
---

표준입력함수 = input() ----------> C언어에서는 scanf()
표준 출력함수 = print() ---------->C언어에서는 printf()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5  (0) 2016.12.10
파이썬4  (0) 2016.12.04
파이썬 3  (0) 2016.12.03
구구단 출력  (0) 2016.11.28
파이썬 2 - 자료형  (0) 2016.11.27

+ Recent posts

티스토리 친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