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
- 표준 네트워크
- 네트워크를 7단계로 분류
OSI 7계층은 상위 3계층, 하위 4계층으로 분류 할 수 있다.
OSI 7계층 |
주요내용 |
주요 프로토콜 |
|
Application |
- 사용자의 소프트웨어를 접근 가능하도록함. - 사용자에게 최종서비스 제공 |
- FTP, SNMP, HTTP, mail,Telnet, ... 등 |
상위 3계층 |
Presentation |
- 포맷기능, 압축, 암호화 - 텍스트 및 그래픽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16진수 데이터로 교환 |
- 압축, 암호 코드 변환 - GIF, ASCII, EBCDIC | |
Session |
- 세션연결 및 동기화 수행, 통신 방식결정 - 가상연결을 제공하여 Login / Logout수행 |
- 반이중, 전이중, 완전이중 결정 - SSL | |
Transport |
- 가상연결, 에러제어, Data흐름제어, segment 단위 - 두개의 종단간 end - to - end 데이터 흐름이 가능하도록 논리적 주소연결 - 신뢰도, 품질보증, 오류탐지 및 교정기능 제공 - 다중화 발생 |
- TCP, UDP |
하위 4계층 |
Network |
- 경로선택, 라우팅 수행, 논리적 주소 연결(IP) - 데이터 흐름조절, 주소 지정매커니즘 구현 - 네트워크에서 노드에 전송되는 팻킷흐름을 통제하고,상태 메시지가 네트워크상에서 어떻게 노드로 전송되는가를 정의 - Datagram 단위 |
- IP, ICMP - 라우팅 프로토콜(RIP, O SPF, BGF) | |
Data Link |
- 물리주소 결정, 에러제어, 흐름제어, 데이터 전송 - Frame단위, 전송오류를 처리하는 최초의 계층 |
- 흐름제어 오류제어(ARQ) - 브리지, PPTP, L2TP, HDLC - Frame Relay | |
Physical |
- 전기적, 기계적 연결정의 , 실제 Data bit전송 - Bit단위, 전기적 신호, 전압구성, 케이블 인터페이스 등을 구성 - Data Rates, line noise control, 동기화기능 수행 |
- 매체 : 동축케이블, 광섬유, Twist pair cabe( ex : UTP ) |
2. L4 : 전송계층(Transport)
TCP : 두 호스트 간에 1:1로 연결되어 양방향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보장.
1대1연결을 만들때 상대의 호스트의 IP를 알아야 함, 이때 사용하는것이 IP이다. TCP와 IP를 묶어서 TCP/IP라고 한다.
TCP/IP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핵심 프로토콜이라 이해하면된다.
HTTP(인터넷 웹 서비스), FTP(파일 전송 서비스) TCP/IP기반한 응용프로토콜
- TCP소캣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캣을 생성할때 socket모듈에 정의된 SOCK_STREAM을 전달해주면된다
UDP : TCP와 달리 소캣간에 1:1연결이 아니므로 안정적이지는 않지만 데이터의 전송이 빠름.
데이터들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는 특성이 있는데 이것또한 TCP와 달리 호스트간에 연결을 만들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떄문.
- UDP소캣을 만들려면 소캣을 생성할떄 socket모듈의 SOCK_DGRAM을 전달해주면된다.